CS/컴퓨터네트워크

정보 통신의 역사

hyehh 2023. 11. 1. 20:06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SMALL

정보 통신의 역사 

 

정보 처리

- 숫자 정보 처리에서 시작

- 다양한 형태의 정보 처리로 발전

 

통신

- 인간의 본능에서 시작

- 정보 공유

- 분산 정보 처리

 

정보 보호

- 정보의 안전성 확보

- 기밀성 확보 


01. 정보 통신 사회와 컴퓨터 네트워크

Information Technology에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로

정보 기술이라 불려 왔는데 어느 순간부터 이름이 길어졌다.

 

IT → IcT

통신의 중요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구축한다라고 했을 때

예전에는 통신이 메인이 아니였다. 전기가 나가면 일을 안 해도 되니깐 기뻤했다. 이메일체크, 웹 서핑을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요즘에는 통신이 메인이 되어있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아무일도 하지 못한다.

결국 통신은 알게 모르게 우리가 없이 살 수 없는 기초가 되어버린것이다.

 

즉 , 거의 모든 작업이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 네트워크의 안전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02. 정보화 사회

1. 과거의 기록법

통신보다 정보화시대가 앞서 있었다.

 

수메르 문자- 점토판에 기록된 것은 : 누가 누구한테 얼마큼 빌렸다. 가 기록되었다.

기본적으로 숫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컴퓨터도 시작은 계산기였다. 다시 말해서 숫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결국은 정보화시대는 숫자부터 시작한 것이다. 즉, 처음 문자화되기 시작했던 건 숫자였다는 것이다.

 

컴퓨터가 발전해 나가는 과정과 별로 다르지 않는다.

컴퓨터는 결국 숫자 정보를 처리하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이 숫자 정보를 처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문자를 처리할 목적으로 아스키 문자, 유니코드 이런 것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문자를 숫자화시켜서 처리한다. 

 

카이사르 - 로마의 대단한 황제로 전쟁에서 유능한 능력을 보여줌

갈리아 지역을 정벌하러 갔을 때 그 정벌하는 과정을 책으로 남겼다. 

책의 첫 문장이 "갈리아는 모두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실제 전쟁터에 있었던 카이사르는 그 지역에 대한 정보부터 시작한 것이다. 

그 정보전에서 지면 뒤는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누가 더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해서 의미 있게 바꾸느냐고 중요하다는 것이다.

 

데이터와 인포메이션은 다르다.

데이터는 숫자가 늘여져 있는 것이고, 거기에서 의미 있는 것을 끄집어낸 게 인포메이션이다.

 

인공지능이 급작스럽게 발전한 이유에 데이터의 양이 있다.

- 딥러닝의 기본은 데이터를 가지고 인포메이션을 만든다. 모든지 학습시킨다.

기본은 데이터 양이다. 많아야 그걸 처리해서 뭔가 만들 수 있다.

- 사회의 변화가 통신 속도와 관계가 굉장히 깊다.


2. 컴퓨터의 등장

 

컴퓨터는 정보 처리를 위한 기계로써 등장했다.

숫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암호, 숫자화된 것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람의 손으로써는 속도가 안되기 때문이다.

 

마크 1 사칙연산 

로켓이 만들어지면서, 쏘고 어딘가 떨어지고 이런 것들을 다 공식 갖고 사람 손으로 빠르게 계산하기 힘들어서

 

탄도 계산

결국 계산용이었다. 


3. 계산 이외의 정보 처리용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

물론 산업용 또는 군사용, 비즈니스용으로 만들어졌었다.

- 그러고 나서 이것이 어느 정도 가격대가 떨어지면서 개인용 PC가 만들어졌다.

-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통신에 대한 욕구가 있기 때문에 PC 시장이 등장할 수밖에 없었다.

 

최초의 컴퓨터에는 운영체제가 없었다.

굉장히 어려운 방식으로 화면에 글자 하나 띄우는 것조차도 하나하나 코딩을 했었야 됐다.

 

엑셀 같은 게 만들어졌다.

-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할 수 있는, 엑셀도 기본이 숫자 처리이다. 이것들이 다 운영체제가 발전하면서 온 것이다.

- 통신도 하드웨어만 발전했다면 발전할 수 없었을 것이다. 


4. 하드 디스크의 역사로 본 데이터의 증가 속도

하드디스크 처음에는 5 MByte로 시작했다. 

현재 우리는 하드디스크  TB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뜻이다.


5. 기하급수적 정보량 증가

정보량의 증가 속도는 기하급수적이다. 

정보량의 증가는 정보 처리 속도와 관계있고 정보 처리의 편의성과도 관계있다.

정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게 통신 속도이다.

 

정보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고 정보 처리에 대한 욕구는 는다.

그래서 ICT 개발자의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우리가 주로 쓰는 단위는 TB이다. 근데, PB도 있고, EB도 있고, ZB도 있고 YB도 있다.

계속해서 늘어난 다라는 것이다.

 

테슬라가 자율 운행을 하는 회사들 중에 독보적인 가장 큰 이유는

정보량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회사들은 지금 막 자율운행을 위해서 자동차를 내보내고 있는데, 테슬라는 처음부터 카메라를 달아서 그걸 팔았다. 그래서 몰고 다니면서 계속 찍은 데이터를 차량에서 처리할 수 없고, 본사의 컴퓨터로 보낸다. 테슬라 본사에서 처리해서 그 결과 값을 차가 받아서 자율운행을 하는 것이다.

 

핵심은 데이터를 모아서 회사로 다 간 것이다. 어마무시한 영상 데이터들이 계속 쌓이는 것이다. 

그 데이터를 가장 많이 갖고 있는 회사가 테슬라이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CPU도 만든다. 그러면서 처리 속도를 높이고 있다. 스타링크를 걸었다 왜냐하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 다 연결되어 있다. 

 

속도 굉장히 중요하다.

통신 속도, 처리 속도, 그리고 데이터양


03. 통신의 역사

01. 소통의 역사

 

인간은 수다를 떨고 싶은 본성이다.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언어를 발전했다.

 

소통의 욕구가 워낙 강해서 

인간 사회는 한 번씩 점프 업된다. 사회 변화 속도도 같이 빨라지고 있다.

 

최근의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회사를 디자인할 때 직원들이 우연히 마주칠 수 있을까 회사를 디자인한다.

역사적으로 문명이 만들어진, 발전해진 곳은 상인들이 많이 지나다니고 교류가 많은 곳이다. 그런 곳에서 문명의 싹이 틔어지고 그 문명이 이동하기도 한다고 한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이 문명을 만든다.

통신 발전이 새로운 무언가의 시너지를 내게 되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간다. 

베이스에 깔려 있는 게 통신이라는 것이다. 

 

기술 혁명과 사회의 변화는 동행한다.

정보에 대한 욕구가 있고 정보 처리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필요에 의해서 이런 것들이 계속 쌓여가는 그런 기본이 있다.


2. 속도의 역사

그래서 속도를 업그레이드하는데에 굉장히 노력했다. 

사진은 로마의 가도이다. 처음 만들었을 때는 백화점에 대리석 놓은 것 같이 평평했다고 한다.

그래서 말이 달리기도 편했고 마차가 달리기도 최적화되어 있는 도로였다고 한다.

 

이거 만드는 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정보의 통신 속도가 빨라야 되는 목적이 있었다.

넓은 영토를 다스르기 위해서는 빠르게 왔다 갔다 할 수 있어야 되었다.

통신이 발달하지 않은 곳은 관리도 잘 안되고 통합도 안되고 여러 가지로 불편하다.

즉, 통신이 잘 되는 것은 기본이라는 것이다.

 

철도가 생기면서 이 속도를 넘어갈 수 있었다고 한다.

철도의 등장으로 통신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진다. 

이때 당시는 인편으로 우편을 보내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니깐 교통의 발전이 통신 속도의 발전인 것이다.


3. 전화기 발명

 

사람이 왔다 갔다 하지 않아도 전기 신호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세상이 열린 것이다.

사람의 말로, 전화선을 통해서 대화할 수 있는 세상이 열린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정보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때부터 지구촌 개념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서로 떨어진 지역에서도 거의 비슷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정보 처리 속도도 빨리지고 교류 속도도 빨라지는 것이다. 그러면서 사회가 한 번 더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수많은 사회 현상들이 일어나고 철학도 일어나고 

급격한 변화 뒤에 기술 발전이 일어나고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그러면서 또 전쟁을 겪는다.

 

이때부터 비로소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작인 것이다.

이게 베이스가 됐기 때문에, 앞에 건 인간의 본성이었다면 이 전화선을 이용한 통신,

처음의 컴퓨터 네트워크도 전화선을 이용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게 사실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작인 것이다.


4. 무선 통신의 시작

이 사람이 무선 통신에 대한 연구를 했다.

에테르가 있네 없네 이런 걸 얘기했었다. 어떤 신호가 어떤 파동이 전달되려면 반드시 매질이, 물질이 있어야 된다.

우주 공간이나 빈 공간에서도 되는 것을 보니 에테르라는 게 있는가 보다.라고 했다가 무슨 실험을 통해서 필요 없다는 게 발견이 된다.  

 

어쨌든 와이파이, 4G 이런 것들이 여기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통신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이 같이 가고 있는 것이다.

무선은 선이 없기 때문에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단점은 선이 없기 때문에 불안정하다. 그래서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계속 노력이 이루어진다. 

 

어떤 건 유선이 유용하고, 어떨 땐 무선이 좋다. 

장단점이 분명히 갈리는 것이다.

만약 무선이 용량도 무한이고 정말 저렴하다면 왜 태평양에다가 광케이블을 깔겠느냐? 불안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즉, 유무선 통신이 결합돼서 돌아가는 사회에 우리는 살고 있다.

 

라디오파, 이게 굉장히 중요한 네트워크의 분기점을 만들어낸다.

라디오파, 전자기파라고도 표현을 하는데 그것이 발견되고 그걸 활용할 방법들이 발전을 하면서 세상은 또 한 번 발전하기 시작한다.


5. 통신 보안의 필요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면 반드시 단점, 문제점도 생길 수밖에 없다.

가장 큰 문제는 보안이다. 

 

전쟁 영화 같은 거 보면 사병들이 주고받는 편지조차도 검열을 한다.

왜냐하면 군사 정보가 무의식적으로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건 실수라고 넘어갈 수 있는데,

 

컴퓨터가 발전된 이유는 2차 대전 때 독일이 주고받는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서 시작된 것이다.

이건 전쟁이다. 경제에서도 동일하고, 산업 스파이 등 어느 영역에서든 통신 보안은 굉장히 중요한 이슈이다.

 

그래서 우리가 어떤 운영체제를 쓰고 어떤 스마트폰을 쓰고 어떤 통신 체계를 쓰는 게 중요해지는 이유 중에 하나가

이 암호화 때문이다. 물론 블록체인이 나와있지만 애는 암호화하고는 관계가 없이 정보를 악의적으로 변경시키는 걸 막겠다는 거지 보안성을 요구하는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결이 다르다.

어쨌든 암호화가 굉장히 중요해졌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우리의 인증서가 어디선가 해킹이 된다면

어떤 프로그램이 우리의 컴퓨터에 심어져서 우리의 개인정보를 빼내간다면

또는 어떤 서버가 해킹된다면 

이런 문제들 때문에 통신 과정에서의 암호화가 굉장히 중요해진다. 보안이 계속 중요해지고 이런 쪽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다.


6. 컴퓨터 네트워크의 등장

그래서 드디어 컴퓨터 네트워크로 오게 된다. 

컴퓨터들을 엮어 놓고 쓰는 상황이 된 거다. 

 

시작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이다.

메일 주고받는 걸로 시작한 것이다.

 

지금은 공동 작업이다.

문서를 같이 만든다는 뜻이다.

컴퓨터들의 공동작업, 개발자의 공동 작업

 

문제는 언제든지 해킹이 있다는 것이다.

오고 가는 해킹, 서버 해킹


 

 

 

728x90
반응형
LIST